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로그인
연구소 소개
FaceBook
Instagram
'자료센터' 바로가기
'웹진 결' 바로가기
'웹진 결' 영문 바로가기
검색하기
상세검색
소장자료
여성인권평화
형태별
시기별
연구교육자료
컬렉션
연표
커뮤니티
공지사항
이슈 브리핑
기증안내
소개
일본군‘위안부’ 문제연구소 아카이브 814 자료 검색
검색
상세검색
Archive Collection
01
버마의 '위안부'
버마의 '위안부'
Archive Collection
02
일본군‘위안부’문제를 인정한 담화 | 무라야마 담화
일본군‘위안부’문제를 인정한 담화 | 무라야마 담화
Archive Collection
03
중일전쟁과 중국 내 ‘위안부’
중일전쟁과 중국 내 ‘위안부’
Archive Collection
04
일본군‘위안부’문제와 UN 특별보고서
일본군‘위안부’문제와 UN 특별보고서
Archive Collection
05
고노 담화 그리고 책임과 보상
고노 담화 그리고 책임과 보상
Archive Collection
06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인정한 담화(談話)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인정한 담화(談話)
Archive Collection
07
위안소의 실태
위안소의 실태
Archive Collection
08
일본군‘위안부’의 모집과 도항
일본군‘위안부’의 모집과 도항
Archive Collection
09
사진으로 보는 일본군‘위안부’ 문제
사진으로 보는 일본군'위안부'문제
여성인권평화
더보기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구술자료집
'위안부'문제해결 올연대네트워크
일본군'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2000년 여성국제법정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이수단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박서운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김순옥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김의경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박차순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현병숙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김학순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문필기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김분선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박두리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이남이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석순희(가명)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이옥선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장점돌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정서운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최용순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곽금녀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김영숙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김영실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강길순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로현화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박영심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리상옥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황금주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이용수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문옥주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강순자(가명)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공점엽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길원옥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김말순(가명)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김봉이(가명)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김순악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김정덕(가명)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김화자(가명)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노청자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박송자(가명)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자료 재정리 자료집: 박화자(가명)
2016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관련 사료 조사 및 DB화 사업 증언해제집
2010년 시의회 의견서 가결의 경험으로부터 배우는 모임 보고집
2008년 유엔 인권이사회의 '위안부' 문제의 권고에 관한 요청서
2008년 우리들의 공청회
2009년 중학역사교과서에 '위안부' 기술의 부활을 요구하는 요망서
2008년 6월 10일 우리들의 공청회 사전행사
2009년 중학역사교과서에 '위안부' 기술을 충실하게 할 것을 요구하는 요망서
2010년 제2회: 채택의 경험으로 배우는 모임 15개 시회의에 이어! 의견서의 힘을 정부로!
2010년 '위안부' 문제의 해결은 "미래"를 연다
2010년 '위안부' 재판의 판결로 일본의 사법이 '인정'한 일본군의 가해 사실∙원고의 피해 사실
2011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완료론(論)'을 검증하다!
2011년 각국 '위안부' 피해자의 현 상황 조사
2012년 '과거의 극복'의 글로벌화
2013년 역사 인식·청구권 철저 논의!
2012년 제32군사령부호 설명판의 '위안부' 삭제에 항의하고, 조속한 부활을 요구하는 요청서
2007년 '위안부' 문제 해결 올연대 네트워크 발족집회
1992년 제1차 정신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공동결의문
1992년 제1차 정신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취지문
1993년 제2차 강제종군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1995년 제3차 일본군'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1996년 제4차 일본군'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공동결의문
1998년 제5차 일본군'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공동결의문
2003년 제6차 일본군'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및 행동강령
2007년 제8차 일본군'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남북 공동성명서
2007년 제8차 일본군'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초안)
2007년 제8차 일본군'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녹취록(2000년 12월 12일)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녹취록 요약(2000년 12월 11일)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녹취록 요약(2000년 12월 10일-2)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녹취록 요약(2000년 12월 10일-1)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녹취록 요약(2000년 12월 9일)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녹취록 요약(2000년 12월 8일)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구두판결 요약문, 2001년 헤이그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판결요약문, 2000년 도쿄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검사단 논고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필리핀 기소장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중국 기소장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인도네시아 기소장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말레이시아 기소장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동티모르 기소장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대만 기소장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네덜란드 기소장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남북한 공동기소장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검사단 공동기소장
연구·교육자료
더보기
일본군'위안부'의 실상을 파악하고 알리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소는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일본군'위안부' 연구자료를 발굴·공개하고 있습니다.
일본군 전범이 말하는 '위안부' 문제 Ⅱ
2023년 전문가 포럼 <일본군 '위안부' 기억문화와 시민운동> 자료집
2023년 학술 콜로키움 <그곳에서 발견된 것: 위험한 여성, 25년 후> 자료집
일본군의 동티모르 점령과 '위안부' 제도
일본군 전범이 말하는 '위안부' 문제
일본 국회회의록으로 보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1948~1992
일본군‘위안부’ 연표
더보기
1992
07 . 21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반핵 평화운동연합 등 6개 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일본 군국주의 부활 저지와 전후 책임을 확실히 하는 연대회의' 발족
08 . 10
서울에서 '제1차 정신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개최. 한국, 필리핀, 대만, 태국, 홍콩, 일본 등 6개국 참가(~1992.08.11.)
1993
10 . 21
일본 도쿄에서 '제2차 강제종군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개최. 향후 일본군'위안부'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결의(~1993.10.22.)
1995
02 . 27
서울에서 제3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전후 50년, '위안부' 문제는 왜 해결되지 않았는가" 개최. 민간위로기금 거부 결의(~1995.03.01.)
1996
03 . 28
필리핀 마닐라에서 제4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왜 국민기금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없는가?" 개최(~1996.03.29.)
10 . 04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37개 시민단체,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올바른 해결을 위한 시민연대' 결성
1998
04 . 15
서울에서 제5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이제, 일본 정부의 배상으로 해결을!' 개최.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을 열기로 결의(~1998.04.17.)
2000
11 . 29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2000년 법정) 개최 성사를 기원하는 아시아 10개국 동시 연대시위 개최
2002
05 . 03
'북한 종군위안부 및 태평양전쟁 희생자위원회'(종태위), 평양에서 "일본의 과거청산을 요구하는 아시아지역 토론회" 개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관계자와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문필기 등 12명 참석. '일본의 과거청산을 요구하는 국제연대협의회' 발족에 합의하고, 남과 북, 해외 동포가 함께 일본 정부에 유엔 결의를 준수하도록 촉구하는 서한과 공동 성명 채택(~2002.05.04)
2003
04 . 23
서울에서 제6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국제기구 권고와 2000년 법정 판결 실현을 위하여"개최(~2003.04.26.)
2004
05 . 20
서울에서 일본의 과거청산을 요구하는 국제연대협의회(2차회의) 서울대회 개최. 북한에 거주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비롯, 일본, 중국, 타이완, 필리핀 등에서 온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및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참가하여 증언. 북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상옥 분단 이후 처음으로 한국 방문(~2004.5.23).
2005
02 . 12
일본 도쿄에서 제7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전후 60주년의 위안부 문제 해결운동: 가해국 일본의 책임을 묻다" 개최(~2005.02.13.)
2007
04 . 26
워싱턴정신대문제대책위원회(Washing Coalition for Comfort Women Issues), 결의안 121을 지지하는 뉴욕연대(Greater New York Support 121 Coalition) 등의 시민단체, 2007년 4월 26일자 『워싱턴포스트』지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리는 광고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진실(THE TRUTH ABOUT "COMFORT WOMEN")' 게재
05 . 19
서울에서 제8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아시아연대 15년, 앞으로의 과제와 연대를 위하여!" 개최(~2007.05.21.)
07 . 31
일본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 올연대 네트워크(『慰安婦』問題解決オール連帯ネットワーク)” 발족 집회 개최됨. 올연대는 미국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 채택, 일본 민주당의 선거 승리 등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긍정적인 움직임이 일본 국내외로 전개되는 가운데 본 단체를 결성하게 되었음을 표명하고 일본 정부와 국회에 '위안부' 문제에 관한 사죄·배상 등을 요구
2008
11 . 23
일본 도쿄에서 제9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세계와 연대하여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즉시 해결을 일본 정부에 요구한다" 개최(~2008.11.25.)
2011
06 . 25
일본 “‘위안부’ 문제 해결 올연대 네트워크(『慰安婦』問題解決オール連帯ネットワーク)”, 2009년 12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전 세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현황 조사를 토대로, 생존 '위안부' 피해자 수, '위안부' 피해자들의 요청 사항, 건강상태, 생활상태와 지원체제,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각국 정부의 자세, '위안부'에 관한 각국 교과서의 서술 등을 담은 팜플렛 발간
08 . 12
서울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 20년 활동의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제10차 일본군 '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 개최(~2008.08.14.)
2012
12 . 08
대만에서 제1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 개최(~2012.12.10.). 8월 14일을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로 정하기로 결정
2013
06 . 17
일본 “‘위안부’ 문제 해결 올연대 네트워크(『慰安婦』問題解決オール連帯ネットワーク)”, '역사인식·청구권 철저 논의' 집회를 개최. 집회에서 요시미 요시아키(吉見義明) 주오대학(中央大学) 교수는 '위안부' 문제에 관해 일본군의 행동을 옹호하는 발언을 한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오사카 시장 앞으로 보내는 '공개질문장' 발표
2014
05 . 31
일본 도쿄에서 제12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아베 정권의 폭주를 용서할 수 없다! 세계는 '위안부'문제 해결을 요구한다!" 개최(~2014.06.03.)
06 . 25
122명의 미군 기지촌 '위안부' 여성들과 '기지촌여성인권연대' 등, 국가가 기지촌을 조성하고 관리하여 성매매를 조장함으로써 원고들의 인권을 침해한 것에 대한 국가대상 손해배상 청구 소송(사건 2018다224408 손해배상(국)) 소장을 서울중앙지법에 제출
2015
05 . 21
서울에서 제13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전후 70년, 우리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로 간다" 개최(~2015.05.24)
2016
05 . 19
서울에서 제14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진실, 정의, 배상 실현과 재발방지를 위하여" 개최(~2015.05.24)
05 . 31
8개국 14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공동등재를 위한 국제연대위원회', 일본군'위안부' 관련 자료 2천744건에 대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본부에 등재 신청
2017
06 . 20
일본 “‘위안부’ 문제 해결 올연대 네트워크(『慰安婦』問題解決オール連帯ネットワーク)”, 단체 결성 10주년 기념 집회를 개최하고 일본 정부가 2017년 2월 일본군에 의한 '위안부' 강제·연행 사실이 명시된 공문서 19건, 182점을 수령했음에도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연행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것을 비판
2018
03 . 07
서울에서 제15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실현되지 않은 정의,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개최(~2018.03.09)
07 . 11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두 시민단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일본군성노예문제해결을위한정의기억재단'이 통합하여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출범
2020
05 . 25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 여성인권운동가 이용수, 두번째 기자회견 열고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의 운동 방식을 비판하며 이를 둘러싼 의혹은 검찰이 해명해야 한다고 주장
이슈 브리핑
2024년 9월 26일 학술 콜로키움 개최 안내 및 자료집 소개
2024년 아시아의 일본군'위안부' 문제 국제 컨퍼런스 개최 안내
8.14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의 날
<2024 기림의날 웹진 ‘결’ 온라인 영화제> 개최 안내
일본군 '위안부' 유튜브
2024 웹진 '결' 온라인 영화제 - 박수남 인터뷰
일본군 '위안부' 유튜브
8.14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의 날
8월 14일은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를 기리는 기림의 날입니다. 함께 기억하겠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유튜브
강화길Ⅹ신샛별 북토크 <다른 사람>
일본군 '위안부' 유튜브
2023년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전문가포럼
일본군 '위안부' 유튜브
북토크 벌새: 가장 가까운 곳의 '은희'
상세검색
검색 키워드
분야 설정
전체
소장자료
컬렉션
연표
연구·교육자료
'소장자료' / '연구·교육자료' 내 검색
검색 범위
기본정보
전체
제목
제목(원문)
생산기관(생산자)
기증자/수집자
국가/지역
범위와 내용
생산기간
~
언어
전체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네덜란드어
기타
검색
초기화
상세검색창 닫기
Footer
Top